워드프레스 회원가입 및 관리 플러그인 - 얼티밋 멤버

IT/워드프레스|2020. 5. 17. 08:56

워드프레스에서 회원이 가입할 수 있도록 가입 폼을 제공하고 회원별 권한을 구분하고, 권한별 접근 페이지를 설정할 수 있으며 패스워드 분실 등으로 초기화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플러그인이 있습니다.

 

무료 플러그인(업그레이드 시 유료로 전환)이며 이름은 ultimate member입니다. 대쉬보드 플러그인 메뉴에서 검색하여 설치 및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플러그인에서 제공하는 주요 기능은 아래와 같습니다. 

 

- 회원가입, 프로파일, 로그인 폼 제공

- 회원별 권한 관리

  : 권한별 프로파일 편집 가능 설정

  : 권한별 Admin Bar 표시 활성 / 비활성 설정

- 멤버 현황 표시 설정

- 사용자 계정, 프로파일, 비밀번호초기화 기능 제공

 

 

설명만 보면 무료 플러그인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걸 알 수 있습니다. 저도 오래 워드프레스를 사용하면서 무료에 이정도 기능의 플러그인을 만난게 별로 없었네요.

 

 

사용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플러그인 설치 후 상단에 필수 필요 몇몇 페이지를 만들라는 버튼 하나만 클릭하면 페이지가 자동 생성되고 그 페이지 옆에 - UM xxx 라는 얼티밋 멤버 문구가 표시됩니다. 

 

 

이렇게 간단하게 필요 페이지를 만든 후 그 페이지를 메뉴로 사용하면 로그인, 회원가입, 비밀번호 초기화 등의 디자인이 사이트에 표시되는 구조 입니다. 

 

특히 메뉴별로 로그인 사용자만 보이게 할 것인지, 로그아웃 사용자만 보이게 할 것인지, 상관없이 모두 보이게 할 것인지를 정할 수 있으며 로그인 사용자만 보이게 할 경우 사용자 권한별로 보이게 할 로그인 사용자를 추가로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그전에 알아두어야 할 한가지를 적어봅니다. 위에서 자동으로 생성된 페이지는 얼티밋 멤버 폼 메뉴에서 양식을 편집할 수 있는데 제공되는 페이지는 로그인, 프로파일, 회원가입 외 없습니다.

 

 

위 포맷은 여러분이 원하는 대로 추가컬럼을 지정하거나 폼에 양식의 권한을 나누어 사용할 수 있는데 이 외 추가적인 폼의 생성이 잘 안되더라구요...(아시는 분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비밀번호 초기화, 내정보, 로그아웃 페이지가 변경되거나 삭제되면 다시 페이지를 만들어 숏코드를 입력해야 하는데 신규가 아닌 경우 직접 관련 숏코드를 입력하고 Permalink를 수정해야 합니다. 

 

직접 숏코드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 기능별 숏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내정보 page] = Account (계정)

 

내정보 페이지는 각 사용자의 계정 설정이 포함 된 페이지입니다.
(‘얼티밋 멤버’ > ‘설정’) 페이지에 있는 ‘일반’ > ‘내정보’ 탭에서 계정 설정에 대한 설정 및 옵션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내정보 page’의 슬러그는 /account/ 입니다.
• 기본으로 설치된 회원가입 폼의 숏코드는 

[ultimatemember_account]

 입니다. 

: 모르고 삭제된 경우 이 페이지 만드는 법
– ‘내정보 page’를 새로 만들고 슬러그를 ‘account’으로 수정합니다.
– ‘내정보 page’의 숏코드를 텍스트 편집기에 붙여넣기합니다.
– 상위 페이지 설정 안함으로 합니다.
– (‘얼티밋 멤버’ > ‘설정’)으로 이동 후 ‘일반’ > ‘Pages’ 탭에서 ‘내정보 page’를 이 페이지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비밀번호 초기화 page] = Password

 

비밀번호 초기화 페이지는 비밀번호 분실 시 초기화를 할 수 있는 링크를 메일로 발송해 주는 페이지입니다.
(‘얼티밋 멤버’ > ‘설정’) 페이지에 있는 ‘일반’ > ‘비밀번호 초기화 페이지’ 탭에서 계정 설정에 대한 설정 및 옵션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비밀번호초기화 page’의 슬러그는 /password-reset/ 입니다.
• 기본으로 설치된 비밀번호초기화 폼의 숏코드는 

[ultimatemember_password]

 입니다. 

: 모르고 삭제된 경우 이 페이지 만드는 법
– ‘비밀번호 초기화 page’를 새로 만들고 슬러그를 ‘password-reset’으로 수정합니다.
– ‘비밀번호 초기화 page’의 숏코드를 텍스트 편집기에 붙여넣기합니다.
– 상위 페이지 설정 안함으로 합니다.
– (‘얼티밋 멤버’ > ‘설정’)으로 이동 후 ‘일반’ > ‘Pages’ 탭에서 ‘비밀번호초기화 page’를 이 페이지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개인정보약관 page] = privacy-policy 

 

 

개인정보 약관 페이지는 사용자에게 개인정보 사용에 대한 약관을 보여주는 페이지입니다. 별도 숏코드는 없습니다.

: 모르고 삭제된 경우 이 페이지 만드는 법
– ‘개인정보약관 페이지’를 새로 만들고 슬러그를 ‘privacy-policy’으로 수정합니다.

 

 

[로그아웃 page] = 숏코드 정보가 업습니다!

 

 

위의 비밀번호 초기화나 나의 계정정보는 페이지 삭제시 신규 페이지 생성 및 숏코드 입력 후 해당 페이지를 얼티밋 멤버 Setting에서 재 설정해 주어야 하나 로그아웃은 따로 숏코드가 없습니다.

: 모르고 삭제된 경우 이 페이지 만드는 법
– ‘로그아웃 page’를 새로 만들고 슬러그를 ‘logout’으로 수정합니다.
– 상위 페이지 설정 안함으로 합니다.
– (‘얼티밋 멤버’ > ‘설정’)으로 이동 후 ‘일반’ > ‘Pages’ 탭에서 ‘로그아웃 page’를 이 페이지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상식적으로 이해해 보면 로그아웃 하는데 특정 페이지에서 무언가 실행시켜야만 하는 폼이 보이는 페이지가 필요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별도 페이지를 하나 만들고 얼티밋 멤버의 Setting에서 해당 페이지를 로그아웃 페이지로 설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

워드프레스에서 자바스크립트 소스를 별도로 사용하는 방법

IT/워드프레스|2020. 5. 16. 07:43

워드프레스로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사이트를 개발하다 보니 자바스크립트나 JQuery를 종종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당시에는 두가지 방법(직접 페이지에 소스 삽입 또는 별도 파일 작성 후 파일 호출)로 사용하였는데, 최근에 알게된 유용한 플러그인이 있어 이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먼저 전형적인 자바스크립트와 같은 추가 소스를 개발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아래 두가지로 요약됩니다.

 

1. 원하는 포스트나 페이지에 직접 소스 코드를 입력

 

 

첫번쨰는 자바스크립트나 제이쿼리와 같은 소스코드를 직접 포스트나 페이지에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페이지나 포스트를 작성할 때 텍스트 입력 모드가 있는데 이 텍스트 입력모드에서 직접 소스코드를 사용하면 해당 포스트나 페이지에서 해당 자바스크립트 소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제이쿼리와 같은 경우 워드프레스에서는 제이쿼리의 #문구를 jQuery문구로 대체해서 사용해야 한다는 점만 이해하고 변환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2. 별도 소스코드 파일로 작성하여 호스트에 업로드 후 호출 사용

 

function insertJS_shortcode( $atts, $contents ){
  $encode = array(
    '“'=>'"',
    '”'=>'"',
    '″'=>'"',
    '‘'=>"'",
    '’'=>"'",
    '<br />'=>''
  );
  foreach( $encode as $k=>$v ){
    $contents = str_replace( $k, $v, wp_strip_all_tags($contents) );
  }
  return '<script>'.wp_kses_decode_entities($contents).'</script>';
}
add_shortcode( 'insertJS', 'insertJS_shortcode' );

 

두번째는 소스를 직접 작성 후 파일로 저장하여 페이지에서 호출하여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위의 소스코드를 별도 자바스크립트 소스파일로 저장하여 WP-Contents 폴더 밑에 Plugin 폴더에 저장하여 숏코드 'insertJS'를 호출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3. 플러그인 사용

 

 

위 두가지 방법외 제가 추천하는 방법은 마지막 세번째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파일로 저장하여 서버에 올린다음 숏코드로 호출하는 등 별도 서버에 접속해 파일 업로드를 할 필요도 없고, 포스트나 페이지에서 직접 소스를 작성하여 활용하다 에러발생하는 것보다 효율적인 것 같습니다.

 

제가 알게된 플러그인은  Insert PHP Code Shippet이라는 플러그인인데 이 플러그인으로는 바로 작성하여 숏코드 형식으로 자바스크립트나 JQuery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가 위 2가지 방법보다 플러그인으로 활용하는 것이 좀더 유용하다는 생각한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번과 같이 직접 포스트나 페이지에 소스코드를 입력할 경우 편집을 위해 해당 포스트나 페이지를 재 오픈 시 소스코드 의 일부가 깨짐현상이 발견함을 확인하였습니다.

 

2번과 같이 소스코드를 작성하여 별도 파일로 하는 방법은 해당 소스코드의 수정이나 추가가 필요할 경우 FTP와 같은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좀 번거롭게 이용해야 합니다. 

 

위 구가지 단점을 보완되는 Insert PHP Shippet플러그인은 Plugin 메뉴어세 Searching하여 설치 및 사용가능하며,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PHP파일을 먼저 추가합니다.

 

해당 파일의 이름에 '_(언더바)' 붙을 경우 이름 생성 오류가 발생합니다. 이름은 영문이나 숫자, 공백등으로만 만들어 사용하기 바랍니다. 

 

2. 파일 생성 후 소스 코드를 작성합니다.

 

소스코드는 제일 서두에 '<?php ?>'를 작성 후 원하는 소스코드를 작성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고 싶다면 '<?php ?><script> --원하는 자바소스 </script>'와 같이 작성하면 됩니다.

 

 

3. 마지막으로 작성된 PHP파일의 숏코드를 표시가 되길 원하는 포스트나 페이지에 입력하면 됩니다.

 

PHP 파일 리스트에 방금 작성하여 저장한 파일의 리스트가 나오고 그 옆에 숏코드나 보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숏코드를 원하는 포스트나 페이지에 입력하면 방금 작성한 소스코드가 동작합니다. 

 

 

추가적으로 앞서 설명드린바와 같이 워드프레스에서 제이쿼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신 'jQuery'로 변환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PHP Snippet플러그인에서 제이쿼리를 사용할 경우 참고하여 작성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대구에서 가볼만한 맛집 3군데 추천 - 삼계탕, 오드레기, 추어탕

취미/맛집|2020. 5. 15. 09:02

대구하면 막창이 유명하죠. 저도 막창을 좋아하는데 지난 여름에 회사출장으로 대구를 방문하여 먹었던 막창보다 좀 더 괜찮은 음식집이 몇군데 있어 소개하려 합니다. 

 

출장 5일동안 매 점심에 사무실 근처 식당을 찾아 돌아다녀 봤는데 일단 삼계탕, 추어탕, 그리고 오드레기가 제가 먹어본 맛있는 음식이었습니다. 

 

 

삼계탕이나 추어탕은 굳이 대구가 아니더라도 지역 곳곳에서 먹어볼 수 있는 음식입니다 아시다시피. 또 맛있는 음식집이 굉장히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소개하려는 이유는 독특한 무언가가 있고 제가 그렇게 미식가가 아님에도 정갈한 음식에 대구에 가게되면 또 먹어보고 싶은 그런 맛의 음식집이었기 때문입니다.

 

 

1. 삼계탕 - 동인 삼계탕

 

 

 

 

처음 소개할 집은 삼계탕집입니다. 대구시청 인근에 있는 조그만 가정집과 같이 생긴 동인 삼계탕이라는 곳인데 간판만 없으면 그냥 일반 가정집이라고도 보여집니다.

 

회사 지인의 추천으로 간 곳인데 별 생각없이 간단히 점심 한끼 생각하고 갔다가 양과 맛에 반한 집입니다. 닭은 그 크기가 한 11~12호 정도는 쓰지 않았나 싶더라구요

 

 

사진으로보면 그리 크게 보이지는 않습니다. 제가 찍고도 지금 보니 큰 닭이라고 보여지지가 않네요. 하지만 직접 가서 보시면 크기에 놀라실것 같습니다(제가 작은 닭만 있는 삼계탕 집만 다녀서 그런거...아닙니다..).

 

 

이 동인 삼계탕집의 포인트는 아마도 이 닭똥집(닭모래주머니) 구이가 아닐까 싶은데요. 서울에서는 포장마차에서 저녁에 간단히 한잔할 때 시켜먹는 맛있는 안주를 여기 동인삼계탕에서는 밑 반찬으로 주더라구요

 

 

삼계탕이 나오기 전에 약주도 한병 주시고 닭똥집도 있어서 취할정도는 분명히 아니지만서도 반주로 식전에 맛나게 즐겼습니다. 닭똥집은 부탁드리면 한접시 더 주시기도 하더라구요.

 

 

전체적인 반찬 사진입니다. 흔히 삼계탕집에서 주시는 고추, 깍두기, 마늘 외 감자조림, 그리고 닭똥집이 추가되어 있네요. 밑반찬도 정갈하고 조미료 냄새가 없어 한끼 든든히 먹고 속이 편한 삼계탕이었습니다.

 

2. 오드레기 - 수성못 근처 녹양식당

 

 

대구하면 오드레기와 뭉티기를 꼭 먹으라고 해서 업무 끝나고 저녁에 수성못이란 곳 근처에 유명한 집을 찾아갔습니다. 여기는 이미 많은 유명세를 타서 사람들이 많더라구요.

 

 

뭉티기는 소 특수부위를 회처럼 생으로 먹는 음식입니다. 굉장히 싱싱해서 찰진 소고기 회를 먹는 요리인데 사진에서 처럼 뒤집어도 떨어지지 않는 찰진 식감을 자랑한다고 하더라구요. 저도 이런 애기를 이미 듣고 온 터라 혹시 몰라 한번 조심스럽게 뒤집어 봤는데 안떨어집니다.

 

 

 

 

오드레기는 오돌뼈 요리 입니다. 소의 힘줄을 연하게 구워서 먹는 요리지요. 녹양식당에서 오드레기와 뭉티기를 한접시씩 시켜 먹으면 6명이서 먹을 정도의 양인데 이게 뭉티기와 오드레기만 가지고는 6인분의 양이 되지 않고 같이 나오는 푸짐하고 다양한 밑반찬을 포함하면 그 정도 양이 됩니다.

 

 

위에 사진은 밑반찬을 찍어본 사진입니다. 사진에 다 나오진 않았지만 오뎅국도 있고 좀더 많아요. 소고기 육회 초밥, 두부김치, 함박스테이크, 튀김, 미역국, 간과 천엽 등 밑반찬도 푸짐합니다. 

 

 

싱싱한 뭉티기 사진한번 더 보시죠. 2층이 아닌 단층으로 된 소 육회 뭉티기 입니다. 접시가 그리 큰 편은 아닙니다. 참고해 주세요.

 

 

같이 나오는 함박 스테이크 입니다. 솔직히 맛있어서 더 먹게 되는 맛은 아니지만 나름 젓가락이 가는 맛을 가지고 있더라구요.

 

3. 추어탕 - 진성식당

 

 

 

 

 

마지막으로 대구시청 근처에서 맛나게 먹은 경상도식 추어탕입니다. 저도 이번에 알게 된게 추어탕이 전라도식과 경상도 식이 있는데 경상도 식은 야래를 크게 넣어 식감을 살린 스타일 이라고 하더라구요.

 

대구 시청이 이번 출장간 근무지여서 점심은 대게 대구시청 근처에서 먹게 되었는데 이렇게 괜찮은 집 두군데를 알게 되어 좋았습니다. 가격도 저렴하였구요. 맛도 좋았고 사장님들도 다 친절하였습니다.

 

 

진성식당에서 추어탕을 시키면 나오는 밑반찬 입니다. 특별난게 있는건 아니지만 저기 위에 보이는 오징어 진미채와 열무김치는 정말 맛있습니다. 몇접시를 먹었는지 모르겠네요.

 

 

위 사진이 이번에 알게된 경상도식 추어탕입니다. 위에 배추와 같은 야채들이 큼지막하게 썰어져 들어간게 보이시나요? 또 추어탕의 향이 너무 좋게 나서 딱 한끼 괜찮은 보양식입니다.

 

 

진성식당에는 난로를 좀 독특한 재료를 써서 때우고 있었습니다. 이름은 까먹었는데 천연재료로 다 타고 남은 찌꺼기를 퇴비로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하네요. 상당히 따뜻했습니다.

 

 

2019년 기준으로 가격이 잘 보이지는 않지만 9천원 이었습니다. 참고로 양이 그리 많지는 않습니다만 밥을 더 달라고 하고 먹으면 나름 푸짐합니다. 제가 좋아한 이유는 맛도 있고 반찬이 깔끔했기 때문이지요.

 

사실 직장인으로써 맛있는 것도 좋지만 점심을 배 편하게 먹으면 오후일과가 굉장히 기분좋게 보낼 수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이 집은 대구가면 또 가야할 집이지요.

댓글()

워드프레스에서 페이지와 포스트의 차이점은?

IT/워드프레스|2020. 5. 14. 10:36

워드프레스로 사이트를 개발하거나 사용하게되면 포스트와 포트폴리오, 페이지가 글을 작성하고 배포하는 포맷 유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를 홈페이지와 같은 정적인 사이트로 개발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네이버 블로그나 다음 카카오의 티스토리 블로그와 같이 블로그 서비스로 개발하여 사용할 수 도 있습니다. 먼저 일반 회사 홈페이지와 같은 사이트의 컨텐츠는 대부분 정적인 컨텐츠입니다. 회사소개, 연혁, 인사말, 사업 소개 등 쉽게 변하지 않는 내용들로 사이트가 채워져 있지요.

 

 

 

 

반면 블로그는, 자주 업데이트 되고 작성되어 업로드 되며, 내용이 종종 변할 수도 있는 동적인 내용의 컨텐츠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기서 동적사이트와 정적사이트의 비교로 동적과 정적을 설명하였는데 워드프레스를 기준으로 포스트나 포트폴리오는 동적인 컨텐츠를 작성하는 포맷, 페이지는 정적인 컨텐츠를 작성하는 포맷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나누어진 이유는 워드프레스를 사용하는 기준에 따라 관리되어야 할 글들의 메뉴가 구분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1. 포스트 및 포트폴리오

 

 

포스트 및 포트폴리오는 페이지와 다르게 카테고리가 제공됩니다. 작성된 포스트 및 포트폴리오를 사이트에서 보려면 메뉴를 구성해야 하는데 이때 카테고리로 그룹을 생성하고 포스트나 포트폴리오를 그 카테고리 그룹으로 매핑관리하는 용도 입니다.

 

 

이 카테고리는 메뉴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카테고리 메뉴는 사이트에서 클릭 시 해당 카테고리에 매핑되어 있는 포스트나 포트폴리오 글들이 리스트로 표시되게 됩니다. 

 

포스트 작성 시 해당 포스트에 대한 카테고리 그룹을 위의 화면과 같이 미리 만들어 둔 카테고리 그룹으로 지정하여 저장 및 발행하면 됩니다.

 

 

카테고리 메뉴로 이동하면 Uncategorized라는 Default로 시스템에서 만들어 놓은 미지정카테고리 명이 보여집니다. 여기서 추가로 카테고리 명을 입력하여 본인이 메뉴로 사용할 카테고리 명을 만들면 됩니다.

 

위 화면에서 보이는 Uncategorized는 삭제가 안되게 되어 있습니다. 워드프레스에서는 기본적으로 위 카테고리를 기본 카테고리를 설정합니다. 만약 Uncategorized를 삭제하고 싶다면 Setting -> Reading메뉴에서 기본 카테고리를 추가하여 만들은 다른 카테고리로 지정한 후 삭제하면 됩니다.

 

2. 페이지

 

 

포스트 및 포트폴리오와는 다르게 페이지는 별도로 제공되는 카테고리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페이지 그 자체로 메뉴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이지요.

 

 

그 이유는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페이지의 내용이 정적으로 쉽게 변하는 성격이 아니기 때문에 단일 메뉴 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굳이 리스트로 만들어 볼 이유가 없는 성격의 포맷이지요.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페이지와 카테고리로 Appearance -> Menu 메뉴에서 메뉴 지정이 가능합니다. 위 화면에서 보이는 페이지는 제가 미리 만들어본 페이지이며 하단에 Posts칸도 보이고 Categories 칸도 보이며 말씀드린것 처럼 Categories로 메뉴를 지정하면 됩니다.

 

그럼 이제 신규 포스트를 해당 Category로 지정하여 발행하면 메뉴에 새로운 글이 리스트로 발행되어 표시되게 됩니다. 

댓글()

워드프레스 아바다 테마 메뉴 상세설명

IT/워드프레스|2020. 5. 13. 08:25

워드프레스에서 판매하고 있는 다양한 테마 가운데 아바다와 The7 테마는 특히 많이 팔리고 좋은 평을 받고 있는 테마 입니다. 저도 물론 둘다 사용하고 있구요. 이 중 아바다는 워드프레스 기본 메뉴 외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추가 메뉴가 있는데. 이 메뉴만 잘 활용해도 아바다 테마 한가지로 다양한 스타일의 사이트를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테마 옵션이라는 메뉴는 아바다 테마 설치 후 대쉬보드에서 아바다 -> 테마 옵션으로 들어가면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보여지는 많은 옵션들에 대하여 이해가 쉽도록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1. Layout

레이아웃은 사이트의 전체적은 구조를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옵션입니다. 사이트는 기본적으로 풀확장형(wide)과 박스형(boxed)로 나누어 지는데 이 두가지중 한가지를 선택하여 사용합니다.

 

또한 컨텐츠 간격(Padding)과 사이드바 스타일(넓이 등)을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2. Responsive

모바일과 PC에 보여지는 디자인에 대한 반응형 변환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변환 넓이 기준(Breakpoint) 등을 지정할 수 있으며 최소 폰트 사이즈의 지정등 추가 설정이 가능합니다. 

 

 

3. Colors

테마에 적용되는 색상을 지정할 수 있으며, 사이트 요소에 적용되는 색상의 기본 색상도 지정이 가능합니다. 

 

4. Header

 

 

- Header Content

사이트 헤더 모양과 위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Top, Left, Right 위치 지정과 7가지 헤더 디자인이 제공됩니다. 소셜링크나 광고 배너등을 추가할 수 있는 헤더 디자인도 있습니다.

 

- Header Background Image

헤더 백그라운드에 적용되는 이미지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 Header Styling

Header Shadow나 풀사이드 헤더 디자인을 지정할 수 있으며 헤더 백그라운드 색상도 지정가능 합니다.

 

- Sticky Header

스티키 헤더(고정 헤더)를 설정할 수 있으며 스티키 헤더의 색상등과 같은 스타일도 지정 가능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스티키 헤더는 사이트 페이지를 하단으로 내려도 메인 메뉴가 상단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5. Menu

- Main Menu

메인메뉴의 디자인을 설정합니다. Highlight Style, Highlight Bar Size, Main Menu Item Padding 등과 같은 스타일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Flyout Menu

Flyout메뉴는 + 표시로 추가 지정할 수 있는 메뉴 입니다. Flyout Menu는 Header 옵션 메뉴에서 #6 스타일을 설정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Secondary Top Menu

2차 메뉴(Drop Menu)의 디자인을 수정합니다. Divider Color, Dropdown Background Color, Background Hover Color 등의 스타일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Mobile Menu

모바일에서 보여지는 메뉴의 디자인을 수정합니다. 모바일 메뉴 디자인은 Classic, Modern, Flyout이 있으며 Classic은 메뉴에 'Go To'가 표시되며 Modern은 더보기 마크가 표시되는 구조입니다. Flyout 메뉴는 메뉴 클릭 시 화면 촤측에서 메뉴가 날아와 화면 전체에 메뉴를 표시해 주는 구조입니다. 

 

- Mega Menu

메가메뉴의 디자인을 수정합니다. Title Size, Dropdown Item Padding, Item Divider등의 스타일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Main Menu Icons

메인 메뉴의 아이콘 디자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6. Logo

- Logo

디폴트 로고, 스티키 헤더 로도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Favicon

페비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페비콘 이미지를 업로드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애플 아이패드와 아이폰에서 사용할 패비콘을 업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7. Page Title Bar

페이지 타이틀 바를 표시할지, 표시한다면 디자인은 어떻게 변경할지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8. Breadcrumbs

브리드크럽의 디자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Breadcrumbs Separator, Font Size 등의 스타일을 변경 관리합니다.

 

9. Sliding Bar

슬라이딩 바의 활성화 여부와 디자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데스크탑과 모바일 각각 활성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바의 위치를 Top, Right, Bottom, Left로 나누어 위치하게 할 수 있습니다. 

 

10. Footer

 

 

- Footer Content

사이드바 하단의 푸터 영역의 디자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Footer Background Image

사이드바 하단 푸터의 백그라운드 이미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Footer Styling

사이드바 하단 푸터의 스타일을 꾸밀 수 있습니다. 100% Width, Padding, Background Color 등의 디자인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11. Sidebars

- Sidebar Styling

사이드바의 스타일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를 스크롤링 하여도 사이드바 위치가 고정되는 스티키 옵션을 지정할 수 있으며, Padding, Background Color 등의 디자인을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 Pages

특정 사이드 바가 사이트 전체 페이지에 나올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 Portfolio Posts

특정 사이드 바가 사이트 전체 포트폴리오 포스트에 나올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 Portfolio Archive

특정 사이드 바가 사이트 전체 포트폴리오 검색결과 내역에 나올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 Blog Posts

특정 사이드 바가 사이트 전체 블로그 포스트에 나올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 Blog Archive

특정 사이드 바가 사이트 전체 블로그 검색결과 내역에 나올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 Search Page

특정 사이드 바가 사이트 검색결과 내역에 나올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12. Background

- Page Background

백그라운드 이미지와 색상, 패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Main Content Background

메인 컨텐츠의 색상과 이미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13. Typography

 

 

- Body Typography

바디 영역의 폰트에 대한 종류, 크기, 색상 및 링크에 대한 색상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Header Typography

헤더 영역의 폰트에 대한 종류, 크기, 색상 및 링크에 대한 색상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Custom Fonts

별도 폰트를 개발하여 업로드 및 사용할 수 있습니다.

 

14. Blog

- General Blog

블로그의 상단에 타이틀 바의 활성 유무나 블로그 검색결과 디자인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Blog Single Post

싱글 블로그에 대한 디자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100% Width, 특성이미지 활성화 여부, Next Pagination 활성화 여부 등의 추가 기능의 설정이 가능합니다. 

 

- Blog Meta

커맨트나 더읽기 기능 등 블로그 상세 추가 기능에 대한 설정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15. Portfolio

- General Portfoilo

포트폴리오 구조에 대한 스타일 설정이 가능합니다. 아카이브 레이아웃을 그리드나 Masonry로 변경사용 할 수 있으며, 아카이브 컬럼수, 아카이브 컬럼 간격 등의 추가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Portfolio Single Post

포트폴리오에 대한 디자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16. Social Media

- Social Media Icons

사용중인 소셜미디어를 사이트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 Header Social Icons Styling

헤더 영역에 표시되는 소셜 아이콘의 디자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Footer Social Icons Styling

푸터 영역에 표시되는 소셜 아이콘의 디자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Social Sharing Box

소셜 공유박스의 디자인과 아이콘 폰트 사이즈 수정이 가능합니다. 또한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같은 추가적은 소셜미디어가 표시되도록 설정 가능합니다. 

 

17. Slideshows

페이지나 포스트 하단에 보여지는 소셜 공유 박스의 디자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18. Elestic Slider

Elestic Slider의 애니메이션 효과나 넓이와 같은 디자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19. Lightbox

Lightbox의 활성화 설정이나 디자인, 텀프네일 상 위치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20. Contact Form

- Contact Form

컨택트 폼 사용 시 자동입력방지 폼 사용 등 폼 페이지에 적용되는 추가 기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Google Map

구글 맵 API를 발급받아 지도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 Google Map Styling

삽입된 구글맵의 디자은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21. Search 

- Search Form

사이트 내 내용을 검색하는 위젯의 활성화 여부와 스타일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Search Page

검색폼의 검색결과 보여지는 페이지의 디자인과 페이지 넘기기 등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22. Privacy

사용자 쿠키의 수집등 정보를 수집하는 것에 대한 동의를 구하는 폼을 활성화 및 스타일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23. Extra

- Miscellaneous

사이드바의 기능(Hover, Click)나 이미지에 표시되는 추가 이미지(오버레이), 더읽기 문구의 디자인 등을 설정할 수 있스습니다. 저도 이 메누의 기능은 잘 몰랐는데 정리하면서 하나 배웠네요.

 

- Related Posts / Projects

연관 포스트의 표시 방식이나 표시 포스트 수, 간격 등의 디자인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 Featured Image Rollover

포스트나 페이지의 특정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자인 및 추가 기능(Rollover 시 변화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Pagination

페기네이션은 전체글을 페이지 단위로 나누어 페이지별로 보여지게 하는 기능으로 페기네이션 표시되는 위치의 디자인(높이, 넓이 등)과 보더 크기 등의 디자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Forms Styling

사이트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폼(컨택트 폼 포함)에 대한 백그라운드 색상, 크기, 텍스트 색상 등의 디자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Grid / Masonry

블로그 스타일이나 포트폴리오 스타일을 그리드로 설정하였을 경우 추가적인 디자인(그리드 박스 색상 등)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입니다.

 

24. Advanced

- Code Fileds (Tracknig etx.)

구글 애드센스에서 제공하는 광고 배너 코드나 구글 애널리틱스와 같은 사이트 분석 트랙킹 코드를 삽입하여 설정할 수 있는 메뉴입니다.

 

- Theme Features

스크롤링 시 스피드나 퓨전 빌더에서 제공하는 코드 블록 요소의 디자인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입니다.

 

25. Performance

jpeg과 같은 이미지파일은 품질이나 사이즈 등 사이트 속도와 성능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한 설정 메뉴입니다.

 

26. Custom CSS

CSS파일의 직접적인 수정 없이 추가나 변경이 필요한 CSS Class, ID 등의 문구를 이 메뉴에서 추가함으로써 변경 가능합니다.

 

27. Fusion Builder Elements

아바다에서 추가로 제공하는 퓨전 빌더에서 사용되는 요소들에 대한 추가, 변경, 삭제를 할 수 있는 메뉴입니다.

 

28. Import/Export

아바다 테마에서 사용되는 각종 파일들의 백업과 복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메뉴입니다.

댓글()

유산균 제품 비교 - 100억 지큐랩 vs 10억 랏토핏

취미/건강|2020. 5. 7. 10:59

안녕하세요 직장인 블로거 입니다.  전 평소 장 건강에 관심이 많습니다. 어렸을 적부터 불가리스나 요구르트와 같은 유산균 음료를 자주 먹었고 커서도 비피더스 유산균 음료를 꾸준이 먹었는데 이유는 장이 좋지 않아서죠. 유산균 음료를 많이 마신다고 장이 드라마틱하게 좋아지거나 하진 않는거 같습니다만 안마시는거 보다는 마시는게 장이 편안해지는게 느껴지더라구요.

 

 

그런데 이 유산균 음료가 가격이 결코 싸지 않아서 매일 먹는게 부담이 되었습니다. 사무실에 요구르트 아주머니께서 오셔서 가끔 사먹기는 하는데 개당 2~3천원은 저같은 월급쟁이에게 부담이...

그래서 알아본게 유산균 약이었습니다. 처음에는 유산균 종류도 모르고 몇억개(?) 이렇게 있는 차이도 모르고 사서 먹다가 두종류정도 먹어보니 내용물에 관심이 가게 되었습니다.

유산균 제품 고민 중이신 분들께 도움이 될 수 있을까하고 제가 다년간 먹어본 두제품을 비교해보았습니다. 물론 장단점이 다 다르더라구요.

 

 

▶ 10억 유산균 랏토핏!

 

제가 처음 접한 유산균 제품은 락토핏이라는 제품입니다. 이 제품을 처음 접한 이유는 특별히 없고 체험단 이벤트를 신청해서 받아본게 이유였죠.

 

먼저 락토핏은 먹기 정말 편했습니다. 가루로 되어 있는 분말형태의 유산균이면서 맛도 달달한 맛이 있어 물없이 삼키기에도 편하죠. 개인적으로는 알약보다는 이런 분말이 저한테는 괜찮은거 같습니다.

 

 

이 제품의 가격은 2020년 기준으로 50포 기준으로 인터넷에서 1만원에 판매하고 있네요. 하루에 1포 먹는다고 가정하면 한 두달 먹는 유산균에 만원이면 가격도 괜찮은 편이죠.

 

▶ 무려 100억 유산균 지큐랩!

 

락토핏에서 현재는 지큐랩으로 바꿧습니다. 바꾸게 된 이유는 유산균 수 때문인데, 락토핏은 10억 유산균이면 지큐랩은 10배인 100억 유산균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구요.

 

 

우리 장속에는 몇 조의 유해균, 유익균이 있는데 점점 성인이 될 수록 유해균의 수가 증가하고 유익균의 수가 감소하여 많은 양의 유산균을 먹어주는게 필요하다고 하더라구요. 

 

지큐랩은 2020년 5월 인터넷 판매가 기준 60일 한통이 32,000원으로 판매하네요. 락토핏보다는 가격이 좀 나가지만 한번 100억 유산균을 먹어보고 있습니다.

 

다만, 지큐랩은 알약 형태로 분말인 락토핏보다는 먹는게 조금(?) 불편하지만 큰 상관은 없습니다. 하지만 알약이 불편하신 분들은 이 부분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외에 제가 조금 공부한 유산균에 대한 지식 + 경험 몇개 공유해 볼께요.

 

▶ 유산균은 공복에 먹는게 좋다?

 

비타민을 공복에 먹는게 좋다는 애기도 있고 식후에 먹는게 좋다는 애기 등 저도 잘 모르겠지만 정확히 언제 먹는게 제일 좋다는 정말 다 다른거 같습니다만, 유산균은 공복에 먹고 식사를 하는게 좋은거 같습니다.

 

생유산균 락토핏을 처음 먹을 때 식후에도 먹어보고 식전에도 먹어보고, 그리고 아침에 일어나자 마자 공복에 먹어보기도 하였는데, 신호(?)가 와서 장을 편하게 하는 편은 공복에 먹는 편이었습니다.

 

▶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락토핏에는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가 있고, 지큐랩에는 프로바이오틱스와 아연 및 셀레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명확히 유산균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없어서 헷갈릴 수 있지만 이해하기 쉽게 프로바이오틱스가 유산균이라고 보면 될 것같고, 락토핏에 있는 프리바이오틱스는 이런 유산균이 오래오래 살수 있도록 먹이 역할을 하는 거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럼 지큐랩에는 프리바이오틱스가 왜 없냐?? 이 부분은 저도 잘 모르겠으나..프리바이오틱스가 궅이 없어도 프로바이오틱스 수에서 굉장히 많은 수를 공급해주는 배제하고 아연이나 셀레늄과 같은 영양분을 포함시킨게 아닐까 하네요.

댓글()

아마존라이트세일에 mysql 접속하는 방법

IT/워드프레스|2020. 5. 4. 17:05

워드프레스 기반 웹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하여 아마존 라이트 세일의 호스팅을 사용하려면 My-SQL에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합니다.  My-SQL DB에 접속하여 데이터 조회 및 추가, 삭제, 변경 등 직접적인 DB Access를 통한 작업이 필요할 경우도 있고 사이트 관리자 패스워드의 변경이 필요할 경우에도 DB에 직접 접속해야 하기 떄문입니다. 우선 My-SQL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라이트세일에서 제공하는 PEM키 파일이 필요하고 이 PEM키 파일을 PPK파일로 변환하여 Putty로 SSH 접속한 다음 phpmyadmin 사이트를 통해 DB에 접속하는 방식입니다.

 

 

기본적으로 라이트세일 사이트에서 본인의 인스턴스를 통해 SSH 접속이 가능하나 이 방식은 phpmyadmin 웹을 통해 DB접속이 가능한 SSH방식이 압니다. 

 

그러므로 라이트세일 My-SQL에 접속하기 위해선 아래와 같이 진행하여야 합니다.

 

 

1. PEM파일 다운로드

 

사용하는 라이트세일의 인스턴스 접속 계정파일을 받으려면 먼저 사용하는 인스턴스에 접속하여야 합니다. 라이트세일에 접속하여 인스턴스에 접속하면 아래 사진처럼 'Account page'라는 문구가 보입니다. 이 문구를 클릭합니다.

 

 

클릭 후 화면을 이동하면 인스턴스의 계정 키값을 받을 수 있는 페이지가 표시됩니다. 아래 사진의 빨간색 표시부분을 클릭하여 계정접속을 위한 PEM파일을 다운받도록 합니다.

 

 

2. Putty Generation을 통해 PEM파일을 PPK파일로 변환

 

다운받은 PEM파일을 PPK파일로 변환해야 합니다. Putty로 SSH 접속하려면 PPK 키 파일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EM파일을 PPK파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PuttyGen이라는 변환프로그램을 설치하여야 합니다. 

 

https://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latest.html

 

Download PuTTY: latest release (0.73)

This page contains download links for the latest released version of PuTTY. Currently this is 0.73, released on 2019-09-29. When new releases come out, this page will update to contain the latest, so this is a good page to bookmark or link to. Alternativel

www.chiark.greenend.org.uk

 

위 사이트에서 Putty프로그램과 PuttyGen 프로그램을 모두 다운받고 사용을 준비하면 됩니다. 

먼저 PuttyGen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제가 여기서 몇번 시행착오를 겪었던게 바로 PEM파일을 로그한 다음 위 빨간색처럼 Generate로 파일변환을 누른다음 'Save private key'버튼을 눌러 PPK파일 변환 후 사용한 것이었습니다.

 

이렇게 하다보니 실제 Putty로 접속을 시도할 때마다 'server refused our key'라고 접속 거부 메세지가 뜨더라구요. Generate를 누르지 말고 Load한 다음 바로 Save privete key를 누른다음 PPK파일로 변환하시기 바랍니다. 

 

3. Putty 프로그램을 통해 SSH 접속

 

 

Putty를 통해서 입력해야하는 곳은 총 4군데 입니다(위의 빨간 네모칸을 참조하세요). 우선 Logging에는 접속하는 IP와 포트 정보를 입력합니다. IP는 사용하는 Public IP를 입력하고 Port는 SSH 접속을 위해 22번을 입력합니다.

 

다음으로 Data에는 접속할 user name을 입력해 줍니다. 사용하는 서비스에 따라 ec2-user등 user name이 다른데 워드프레스를 사용할 때에는 bitnami를 입력해 줍니다.

 

다음으로 Auth칸에 패스워드 키를 설정합니다. 위의 Putty Generator로 PPK파일 변환한 키 파일을 여기서 불러와 설정하도록 합니다.

 

마지막으로 Tunnels에 값을 입력하면 됩니다. Tunnels Port에는 8888, IP에는 localhost:80을 입력하도록 합니다. 다 입력하였다면 하단에 open버튼을 눌러 SSH에 접속하도록 합니다.

 

 

정상적으로 SSH에 접속하였을때 위 창이 발생합니다. 이 창을 그대로 띄워놓은 상태에서 다음 아래 단계를 진행하도록 합니다. 

 

4. phpmyadmin 웹을 통해 My-SQL DB접속

 

아래 사이트로 접속합니다. 띄워놓은 SSH를 Close하면 접속이 불가합니다.

 

http://127.0.0.1:8888/phpmyadmin

 

사용자명에 root를 입력하며 root패스워드는 아래 위치에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접속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My-SQL 웹화면이 출력됩니다.

 

 

이제 본인이 사용하는 워드프레스의 DB에 대한 관리가 가능합니다. bitnami_wordpress라는 스키마에 설치한 워드프레스와 관련된 DB Table들이 있습니다. 필요한 정보를 조회하고 테이블 또는 데이터 단위 등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댓글()

아마존 라이트세일 비트나미 아이콘 삭제하는 두가지방법

IT/워드프레스|2020. 5. 4. 17:04

아마존에서 서비스하는 호스팅인 라이트세일을 사용하여 웹서비스를 개발하게되면 bitnami라는 라벨이 자동으로 붙어 있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bitnami는 라이트세일에서 제공하는 호스팅 서비스에 들어가있는 계정이고 호스트에 접속해보면 대부분 bitnami기반으로 관리되고 있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디폴트로 딸려오는 bitnami 라벨을 제거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서버에서 bitnami 서비스 계정을 비활성화하는 방법이고 두번째는 CSS를 수정하여 bitnami CSS를 블락처리하는 방법입니다.

 

 

어떤 방법이 더 나은지는 평가하기 어렵지만 서버에서 계정을 비활성화하는 방법이 조금 더 안정적인거 같습니다. 왜냐하면 CSS에서 블락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사이트의 수정이나 재배포가 발생하여 CSS가 변경될 경우 다시 binami라벨이 사이트 화면에 나타나기 때문이죠.

(저같은 경우 아마존 라이트세일에서 워드프레스를 개발사용하고 있는데 몇번 정도 재배포를 하다 보니 항상 CSS를 수정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1. 서버에서 bitnami 계정 비활성화 하는 방법

 

우선 서버에서 bitnami 계정을 비활성화하는 방법입니다. 사전에 리눅스 명령어를 알면 좋지만 모른다고 해도 아래 스텝을 따라하면 적용이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1) 아마존 라이트 세일 접속

 

먼저 SSH에 접속이 필요합니다. 자신이 사용하는 라이트세일에 접속하여 Connect SSH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할 준비를 합니다. 

 

 

2) 사용 인스턴스에 SSH 접속

 

 

3) sudo -s로 관리자 계정 권한으로 변경

 

sudo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계정변경 명령어 입니다. sudo -s는 관리자 계정 권한으로 변경한다는 의미의 명령어 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계정을 변경합니다. 

 

 

4) 아래 명령어 입력하여 계정 비활성화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bitnami계정을 비활성화 하도록 합니다.

 

- sudo /opt/bitnami/apps/APPNAME/bnconfig --disable_banner 1

 

 

5) 아파치 재실행

 

마지막으로 웹서버인 아파치를 재시작하면 정상적으로 bitnami 라벨이 삭제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udo /opt/bitnami/ctlscript.sh restart apache

 

 

2. CSS에서 bitnami 블락처리하는 방법

 

 

 

만약 서버접속이 원활치 않거나 좀더 쉬운 방법을 사용하고 싶다면 CSS파일에서 아래 구문만 추가하여 binami 라벨을 블락처리하면 사이트에서 bitnami라벨이 보이지 않을 것입니다.

 

#bitnami-banner {display:none;} 

 

하지만 위에서 말했듯이 CSS파일을 수정할 경우 위 문구가 변경되거나 삭제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사이트를 재배포 할경우 위 CSS 문구를 CSS파일에 다시 입력해야 bitnami 라벨이 사이트에서 사라집니다.

 

 

 

댓글()

웹호스팅 장단점 비교 - 아마존라이트세일 vs 카페24

IT/워드프레스|2020. 5. 4. 17:03

워드프레스로 사이트를 만들다 보면 다양한 호스팅의 장단점을 가지고 사용을 정할 때가 많이 있습니다. 저역시 개인적인 의뢰로 사이트를 만들기 위해 2가지 호스팅사의 호스팅을 이용하고 있습니다만 서로의 장단점이 다 있는 만큼 미리미리 알아두고 접근하면 좋을 것 같아 몇자 적어보려 합니다. 이유는 호스팅사를 처음에 정하고 바로 개발에 진행하다보면 중간에 호스팅 사를 변경하는데 굉장한 에로사항이 발생하고 불가피할 경우 사이트 개발을 처음부터 다시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보통 호스팅사에서 특정 플랫폼에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사전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개발에 들어가다보면 막히는 부분에서 에로사항이 발생하는데, 이럴 경우 타 호스팅사에서 문제가 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분을 알고 있었다면 수월히 해결될 수도 있는 부분이 꽤나 골치아파 지기 때문이지요.

 

예를 들어 워드프레스를 예로 들면 카페 24에서는 wp-config파일을 수정하여 멀티사이트를 구성할 수 있으나, 아마존의 라이트세일 호스팅을 이용하면 wp-config 수정으로는 막히는 부분입니다. 라이트세일에서는 처음부터 워드프레스 멀티사이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이 서비스를 선택하여 개발을 진행해야 하죠.

 

 

물론 뛰어난 개발자 분들이 해결이 수월하실 겁니다만 저같이 현업 개발자가 아닌 관심과 취미로 개발을 하는 개인에게는 이런 문제는 좌절의 시작이 되는 이유입니다.

 

저는 현재 개인적으로 개발한 공공데이터 활용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아마존 라이트 세일에서 사용중이고, 개인의뢰로 작업한 홈페이지는 카페24에서 작업하였습니다. 이 두가지 케이스를 가지고 각각의 호스팅에서 가지는 특징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1. 아마존 라이트세일은 월별 과금 체계이고 카페 24는 연단위 서비스 charge 체계입니다.

 

이 부분은 아마존 라이트 세일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카페24는 연단위로 사용할 하드웨어 스펙을 기준으로 서비스를 신청하고 비용을 지불하여 호스팅을 사용합니다.

 

이럴 경우, 실제 스펙만큼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비용은 지급해야 합니다. 연단위 지급이기 때문이죠. 그럼 초과되면 어떻게 되냐? 서비스가 중지(사이트 접속 불가 등) 되거나 추가 비용을 지급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이 또한 연단위 비용이죠.

 

아마존 라이트 세일은 월단위로 사용량 만큼 과금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량에 따라 비용이 달라 집니다. 불필요하게 과 스펙의 하드웨어를 굳이 신청하지 않아도 안정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죠.

 

단, 아마존 과금을 이용하려면 해외에서 사용 가능한 마스터 카드가 필요하고 등록하여 결제해야 하기 때문에 조금은 번잡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용이 환율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고 환율이 적용될 경우 비용이 조금 더 나오기도 하죠.

 

2. 아마존 라이트세일은 DB접속시 phpadmin을 이용하고, 카페24는 heidiSQL을 이용합니다.

 

이 부분은 명확히 카페24는 phpmyadmin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아마존 라이트 세일은 DB접속 시 phpmyadmin을 이용하지만 카페24는 호스트의 php버전에 따라 heidisql을 사용해야 할 수도 있고. phpmyadmin을 사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현재 php 7버전 이상은 카페24d에서 phpmyadmin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차이점은 phpmyadmin을 통한 접속 방식일 것입니다. 아마존 라이트 세일 같은 경우 phpmyadmin에 접속하려면 매번 putty로 SSH를 접속한 다음 DB에 접속할 수 있는 반면, 카페24는 한번 DB Connect 파일을 호스트에 올려 놓으면 바로 계정 정보를 통하여 접속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아마존 라이트 세일이 카페24보다는 DB에 접속하는 방식이 조금 더 복잡하다고 보여집니다.

 

3. 아마존 라이트세일은 해외서비스이고, 카페24는 국내서비스입니다.

 

아마존이 해외 호스팅사이기 때문에 당연히 해외서비스이고, 카페 24는 한국 호스팅사이기 때문에 이또한 당연히 국내서비스이지만, 굳이 언급하는 이유는 해외와 국내의 비교를 위함입니다.

 

먼저 해외와 국내 서비스의 비교는 서비스 지원에 있습니다. 라이트세일에 문제가 있을시 아마존 서비스 포럼에 질의를 하여야 하는데 제대로 된 지원을 받으려면 영어로 질의를 해야 하고, 지원에 대한 추가 비용이 charge되는 프로세스입니다. 

 

 

아마 간단한 질의(비용 체계 등)은 그냥 해줄 테지만 테크니컬한 부분은 별도 비용이 발생하는 거 같습니다(저도 이용하다 Acceess에 심각한 Trouble이 생겨 질의하려다 돈달라는 말에 포기했습니다..).

 

반면 카페 24는 친절히 답변도 잘 해주고, 별도 비용이 발생하는거 같지 않습니다(아직 카페 24에는 크게 문제가 없어 확인해보지 않았으나 몇몇 블로그를 확인해본 결과 질의에 대한 답변이 기술적이어도 비용이 들지 않는다고 합니다).

 

4. 마지막으로 아마존 라이트세일은 Dynamic한 서비스이며, 카페24는 Static한 서비스라 생각합니다.

 

Dynamin하다는 표현은 언제든 서비스의 변경이 가능하다는 애기입니다. 신청한 과금 서비스를 언제든 변경할 수 있고 필요 없을 시 중도 해지할 수도 있으며 신청한 서비스가 워드프레스일지라도 노드js나 리눅스 서비스 같이 서비스의 변경이 언제든 가능합니다.

 

하지만 카페 24는 한번 신청한 서비스에 설치된 프로그램의 버전업 정도는 가능하다 워드프레스 설치형 서비스를 신청했다면, 사용 중에 노드 js나 다른 서비스로의 전환이 불가합니다. 이 부분을 Static하다고 표현한거죠.

 

 

호스팅을 제공하는 서비스사마다 각각 장단점이 다 다른거 같습니다. 어떤 호스팅사가 더 나은가라는 질문에는 어떤 서비스를 개발할 것인가에 대한 답변이 먼저 나온 후 판별이 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한번 개발하고 변경이 없지만 국내에서 지원이 용이한 사이트를 개발한다면 카페24가 조금 더 나을 것이고, 서비스 변경이 용이하며 사용량이 월마다 들쑥날쑥하다면 아마존 라이트 세일이 더 나을 수 있다는 애기입니다.

댓글()

핸드폰으로 인물사진 깔끔하게 잘 찍는 방법

취미/사진|2020. 5. 3. 22:32

저는 와이프랑 사진을 자주 찍으로 다니는 편입니다. 물론 제 사진보다는 와이프 사진이 주가 되죠 항상^^. 편의상 핸드폰을 가지고 찍는 경우가 많으나 화질이 차이가 있다하여(?) 최근에 DSLR을 저렴한걸로 하나 장만하기도 했죠. 그래도 이 DSLR보다는 핸드폰으로 찍는 경우가 많네요. 저도 사진을 잘 찍는 편은 아닙니다. 저와 같이 와이프나 여자친구, 또는 가족을 사진찍어 주는 전국의 많은 남편, 남자친구, 가장 분들께 제가 알고 있는 조금은 유용한 사진 잘찍는 방법입니다. 그리 거창한것은 아닙니다. 그냥 조금만 신경써보면 괜찮게 나오는 방법입니다. 

 

 

1. 발 밑에 여백이 많지 않으면 전체적인 비율이 훨씬 좋아보이게 찍을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발이 바닥에 가깝게 찍어보는 방법 입니다. 사진에 전체적으로 비율이 있어보이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자주 사용해서 찍어보는 방법이죠.

 

여기서 중요한 점은 사진을 찍을 때 약간 사진을 인물보다 높은 곳에서 찍어 누르듯이 찍는 것 입니다. 중앙이나 밑에서 위를 보듯이 찍게 되면 턱이 두툼해 보이고 비율이 상대적으로 뚱하게 나오는 것을 확인했써요.

 

 

지난 벗꽃시즌에 코로나 때문에 번화가는 안가고 집뒤에 공원에서 찍은사진입니다. 발 밑을 사진 아래에 최대한 가깝게 두고 찍은 사진이지요. 제 와이프가 키가 작지도 크지도 않은 키지만 전체적으로 키가 안작아보이고 비율도 좋게 찍히더라구요.


2. 바닥보다 하늘이 많아 보이게 찍으면 사진도 훨씬 발랄해 보이고 감각적으로 찍을 수 있습니다.

 

바닥을 발 밑과 맞췄다고 해서 머리까지 화면 위랑 맞추는 크기로 찍으면 그냥 1:1 판넬로 찍어 보는 거 같은 사진이 되더라구요. 이렇게 찍는 다고 하면은 사람 바로 앞에서 핸드폰을 들이대고 사진을 찍는 것 일 겁니다.

 

 

보통은 4~5미터 정도 거리를 두고 사진을 찍죠. 이럴 경우 5미터 보다 조금 더 뒤에서 찍으면서 전체적으로 화면의 배경이 많게 찍으면 사진이 좀 더 활발해 보이는 느낌으로 찍어지더라구요.

 

 

 

 

위사진과 아래 사진의 차를 비교해 보시면 이해가 되실꺼예요. 하늘의 여백을 거의 없앤 위의 사진과 하늘의 여백을 충분히 남긴 아래 사진의 차이가 보이시나요?

 

 

무언가 버라이어티하게 차이가 나는건 아니지만 야외의 느낌을 살려서 찍힌 아래 사진이 좀더 발랄하게 나온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3. 수평은 기울이지 않고 일직선으로 찍어보세요.

여자친구가 아무리 예쁘게 나와도 배경 수평이 기울었다면 불안정한 느낌에 사진을 망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수평은 사진의 일직선 입니다. 쉽게 사진기를 삐뚤어지지 않게 찍어야 된다는 애기예요. 아무리 사진을 못찍는 사람이라도 적어도 수평선 기준만 잘 맞춰준다면 사진 못찍는단 애기는 안들을수 있써요. 아마 사진의 수평은 굳이 애기 안해도 기본일 것 입니다.

 

 

4. 마지막으로 얼굴사진은 가운데로 위치하게 찍는 방법입니다.

 

여자친구의 아름다운 얼굴을 담기 위해선 피사체를 중앙에 두면 훨씬 더 선명하고 또렷한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사실 얼굴을 가운데 두기도하고 배경의 좌우측에 두어서 인물사진을 찍기도 하는데 저같은 경우 보면은 결국 얼굴 사진이 중앙에 있는 것이 보기 좋더라구요.

요즘 핸드폰의 카메라들이 너무 좋아져서 피사체의 최적의 위치를 알아서 알려주는데 이 부분들도 중앙으로 알려주는걸 보면 카메라에서의 최적의 위치는 중앙이 아닌가 합니다. 그리 많지 않은 방법이지만 알아두면 좋을 좋은 사진 찍는 방법입니다. 다시 정리하면 이렇죠.

1. 발끝은 화면 하단에
2. 발랄한 분위기는 하늘 여백을 많이
3. 사진의 수평을 유지해서 찍도록
4. 얼굴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찍어보세요.

댓글()